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관악구 임장 및 분석 (1) 지역개요

by start1204 2025. 2. 18.
300x250

서울특별시 관악구 임장 다녀온 후기 및 나름대로의 분석을 포스팅 해봅니다.

1.  지리적 위치

관악구의 위치

 

 ○ 서울의 중심인 동남권은 물론 여의도와도 꽤나 가까운 거리에 시청접근성도 나쁘지 않은 편.

  - 2호선을 사용하면 강남까지 20분, 여의도 40분, 시청 50분 이내 접근 가능

  - 버스를 사용한다면 여의도 접근성은 더 좋아짐. 

 

2. 법정동, 행정동

출처 : 나무위키

 

3. 지적편집도

관악구 지적편집도

 

○ 관악산 쪽 녹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노란 주거지역이며 파란색 공업지역은 없음.

빨간 상업지구는 신림역, 서울대입구역, 사당역에 형성되어있다. 지하철역별 이용승객수 랭킹 중 관악구를 지나는 3개 역이 TOP20위 안에 있을 정도로 인구 유동량이 많은 편(신림역 : 6위, 서울대입구역 : 13위, 사당역: 17위)

 

4. 생활권 나누기

 

관악구에서 제일 중요한 부분은 2호선과의 접근성이라 생각함.

 

○ 봉천, 서울대입구 : 관악구의 중심이라고 생각되는 곳. 인구유동량 자체는 신림이 더 많지만 대부분의 아파트들이 봉천역, 서울대입구역에서 시작하여 뻗어나가기 때문에 중심지로 생각함. 상권은 서울대입구역쪽이 샤로수길을 필두로 하여 잘 형성되어있는 편에 역 주변에는 오피스텔들이 다수 들어서있음. 

○ 아파트 : 개인적으로 관악구 아파트 가격의 상방을 가로막는 가장 큰 이유가 이 아파트 구역의 위치라고 생각함. 아파트 대부분이 역 근처가 아니라 산 중턱에 위치하여 역에서 걸어가기에는 무리가 있음. 직선거리는 짧다고 한들 경사 때문에 버스를 타고 환승을 해야 하는 아파트가 대부분이라 타지역에 비해 선호도가 떨어진다고 생각함(그런데 성동구는 왜 비쌀까..) 그래도 2호선 서울대입구역, 봉천역과 7호선 숭실대 입구역까지 버스가 많이 다니기 때문에 일자리 접근성 자체는 좋은 구역이다.

○ 신림선 : 관악구의 알파이자 오메가인 2호선과 거리가 멀고 신림선이 위치해있음. 신림선을 통해 여의도로 바로 갈 수 있으나 이용객이 그렇게 많지는 않아보임. 도림천을 따라 생활권이 형성되어 있고 최근에 서울대벤처타운역 근처에 재개발이 진행되어 분위기가 바뀔 것으로 생각됨

○ 신림 : 큰 상권이 형성되어 있으나 주변에서 사람들을 끌어들일만한 상권이라기 보다는 실거주민들의 수요에 맞는 상권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동네를 대표할만한 큰 아파트가 없음.

○ 사당 : 사당역을 기준으로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가 맞닿아있기 때문에 역 근처에 아파트가 없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관악구 행정구역 기준으로 소형아파트들과 원룸들이 많이 있음. 상권들도 있지만 진짜 상권은 동작구, 서초구 관할구역이며 관악구 구역은 경기도로 가는 버스정류장 근처 상권 정도.

 

5. 인구분포

관악구 동별 인구수/세대수 분포도

○ 성현동, 창림동 및 난향동의 인구수/세대수 값이 높다. 성현동, 창림동은 아파트들이 밀집되어있는 지역이며 난향동도 크지 않은 면적에 큰 아파트 단지가 있어서 높은 것으로 추정

  평균적인 인구수/세대수값이 1.중후반대라 가족단위보다는 1인가구가 많은 것으로 추정.

 

 

○ 어느 동이나 비슷한 인구분포도를 보임. 영유아 10대 비중이 8%에 불과하고 20대의 비중은 22%,  30대도 19%로 2~30대의 비중이 40%가 넘어감. 동네 전체에 아파트가 별로 없는 편이며 역 근처부터 수많은 오피스텔과 원룸들을 볼 때 주요 업무지구까지 거리가 가까운 지리적 특성으로 사회초년생들이 많이 거주한다고 볼 수 있음. 

300x250